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마진콜이란 무엇인가? - 경제 용어 알아보기
    카테고리 없음 2025. 4. 8. 15:35

    경제 관련 글이나 기사를 이해하는데 용어의 정의를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제 관련 용어는 한자 단어나 영어 단어로 된 것이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한 번 봐서는 의미를 알기 어려운 용어들이 제법 많이 나옵니다. 오늘은 이 중 '마진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진콜-Margin Call-경제용어

     

    마진콜에 대하여

    마진콜(Margin Call)은 레버리지를 사용한 금융 거래에서 투자자의 계좌 가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 브로커가 추가 자금을 입금하거나 포지션을 조정하라고 요구하는 경고입니다. 이는 레버리지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관리하기 위한 브로커의 안전장치입니다.

     

    마진콜은 계좌의 가치가 최소 유지 증거금(Maintenance Margin)이라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유지 증거금은 투자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을 계좌에 보유하도록 요구하는 최소한의 금액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질수록 이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마진콜이 발생하려면?

    마진콜은 주로 두 가지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첫째, 시장 가격이 하락하여 투자자가 보유한 자산의 가치가 급격히 감소할 때입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레버리지를 사용해 주식을 매수했는데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 계좌의 총가치가 유지증거금 이하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둘째, 투자자가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하거나 계좌에 여유 자금을 충분히 남겨두지 않았을 때입니다. 레버리지를 많이 사용할수록 작은 가격 변동에도 계좌 가치가 급격히 변동하기 때문에 마진콜 위험이 높아집니다.

     

    마진콜 발생 사례

    2021년, 한국계 미국인 투자자 빌 황이 운영하던 헤지펀드 '아케고스 캐피탈 매니지먼트'는 레버리지를 과도하게 활용한 투자로 인해 대규모 마진콜 사태를 일으켰습니다. 아케고스는 파생상품인 총수익스와프(TRS)와 차액거래(CFD)를 통해 보유 자산의 5배가 넘는 약 500억 달러 규모의 주식에 투자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빌 황은 투자은행들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빌려 레버리지 거래를 진행했지만, 일부 주요 투자 종목(파라마운트, 디스커버리 등)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주가 하락으로 인해 아케고스는 증거금을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마진콜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투자은행들은 담보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담보 주식을 매도하기 시작했고, 골드만삭스는 블록딜 방식으로 빠르게 손실을 최소화했지만, 다른 금융회사들은 손실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결과적으로, UBS, 모건스탠리, 노무라 증권 등 여러 글로벌 투자은행들이 약 100억 달러(약 13조 6천억 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으며, 스위스 투자은행 크레디트 스위스는 이 사전 여파로 경쟁사 UBS에 인수되는 상황까지 이어졌습니다.

     

    미국 검찰은 빌 황을 금융사기 및 시세조작 혐의로 기소하며, 그의 레버리지 비율이 한때 1,000%에 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 사용이 얼마나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위험성과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금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마진콜이 발생할 때 투자자는?

    마진콜이 발생하면 투자자는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브로커가 요구하는 만큼 추가 자금을 계좌에 입금하여 부족한 증거금을 채우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보유 중인 포지션(거래)을 일부 청산하여 계좌 가치를 회복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만약 투자자가 마진콜 요구에 응하지 않거나 추가 자금을 입금할 능력이 없다면, 브로커는 강제로 포지션을 청산할 권리를 가집니다. 이 경우 투자자는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으며, 심지어 계좌 잔고가 마이너스(부채)로 전환되며 상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진콜은 투자자에게 심각한 재정적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시장이 급변하거나 유동성이 낮은 상황에서는 강제 청산 과정에서 예상보다 더 큰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 가격이 급락하는 도중에 브로커가 포지션을 청산하면, 매도 가격이 매우 불리하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에게 손실을 확대시키며, 심각한 경우 원금 이상의 손실(추가 부패)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마진콜을 예방법

    마진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이 필요합니다.

     

    첫째, 적절한 레버리지 비율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는 작은 가격 변동에도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둘째, 계좌에 충분한 여유 자금을 확보하여 갑작스러운 시장 변동에도 대비해야 합니다. 이는 유지 증거금 기준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을 줄여줍니다.

     

    셋째, 자동 손절매(Stop Loss) 기능을 활용하여 특정 손실 수준에서 자동으로 포지션이 정리되도록 설정하면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마진콜은 레버리지 거래에서 리스크 관리를 위해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는 브로커와 투자자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지만, 투자자에게는 재정적 부담과 심각한 손실 위험을 동반합니다. 따라서 마진콜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전략(적정 레버리지 설정, 여유 자금 확보, 자동 손절매 설정 등)을 철저히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융 시장에서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리스크 관리와 시장 상황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크레디트스위스 한국 사무소 철수 - UBS에 인수된 이후 구조 조정

    투자은행 크레디스위스가 한국 사무소를 철수한다고 합니다. UBS에 인수되어 전 세계에서 운영 중인 지역 사무소를 구조조정 과정에서 나온 결정이라고 하는데요. 자세히 알아봅시다.  진출 30

    siempre-feliz.tistory.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