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자본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 - 은행 건전성지표 알아보기카테고리 없음 2024. 1. 19. 00:57
서민들은 목돈이 생기면 시중은행보다는 몇 % 라도 금리를 더 챙겨주는 저축은행으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저축은행은 건전성 면에서는 1 금융권인 시중은행보다 많이 떨어지는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한 번씩 경제 위기가 오면 저축은행에 대한 뉴스들이 심심찮게 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시중은행을 포함해서 은행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에 대해 얘기해 볼까 합니다.
은행 건전성을 나타내는 두 가지 지표
은행은 예금을 받아서 이를 대출 등의 형태로 돈을 유통시키는 기관으로, 그 규모와 영향력이 큽니다. 은행의 건전성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과 국민 경제의 발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은행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두 가지는 제목에서도 말했듯이, 자기 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있습니다.
자기 자본비율은 은행의 자본력과 위험흡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말 그대로 은행이 순수하게 가지고 돈의 양의 비율을 말하는 것인데, 그런 의미에서 은행이 가진 자본은 대출 등 위험자산에 대한 손실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자기자본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건전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 비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 / 위험가중자산
여기서 자기자본은 은행이 보유한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잉여금 등을 말하는 것이며, 위험증가자산이란 은행의 대출, 유가증권 등 일반적으로 우리가 '위험자산'이라고 부르는 것들입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의 부실자산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고정이하여신은 연체기간이 3 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을 모두 합한 금액을 말하며, 회수 가능성이 불투명한 부실자산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수록 은행 건전성은 좋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 고정이하여신 / 총 여신
위 계산식에서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 합계액이며, 종 여신은 은행이 보유한 모든 여신을 말합니다.
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건전성 지표에 쓰이지만, 각가 다른 측면을 보여줍니다.
- 자기자본비율: 이 지표는 은행의 자본력과 위험흡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장기적인 건전성을 나타내는 데 더 적합합니다.
- 고정이하여신비율: 이 지표는 은행의 부실자산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단기적인 건전성을 나타내는데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은행의 장단기적인 관점의 건전성을 모두 파악하려면, 이 두 가지 지표가 같이 필요한 것입니다.
자기자본비율의 개선 방안
자기자본비율의 개선방안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자본금을 늘립니다. 은행은 자본금을 확충하여 자본력을 강화합니다. 자본금은 주주로부터의 증자, 배당 후 이익잉여금의 적립등을 통해 늘릴 수 있습니다.
둘째, 자본준비금을 적립합니다. 은행은 자본준비금을 적립해서 위험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자본준비금은 대손충당금, 특수손실준비금 등을 말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의 개선 방안
아래의 방법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을 개선합니다.
첫째, 대출심사를 강화합니다. 은행은 대출을 실행하기 전에 고객의 신용상태와 사업성을 철저히 검토하여 고정이하여신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둘째, 금융교육을 강화합니다. 금융 소비자들은 자신의 신용상태를 관리하고, 합리적인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하여, 무리한 대출이나, 수입을 상회하는 신용카드 사용을 자제하도록 유도합니다.
셋째, 경제 여건을 개선합니다. 경기 침체가 시작되면 기업의 도산 위험이 높아져서 고정이하여신 발생이 증가하게 됩니다. 경기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 있다면, 고정이하여신비율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오늘 알아본 두 가지 지표, 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의 경영성과보고서에 많이 등장합니다. 본인이 투자하는 은행을 결정할 때, 이 두 가지 지표를 살펴보고, 너무 금리에만 현혹되지 않는 현명한 투자자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