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숏스퀴즈란 무엇인가? - 경제 용어 알아보기
    카테고리 없음 2025. 4. 23. 10:35

    공매도가 2025년 3월 말일에 다시 전면 허용이 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어느 기관이 어느 종목에 얼마나 공매도를 하는지에 대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런 공매도 관련 뉴스나 글에 보면 '숏스퀴즈'라는 용어가 보입니다. 어떤 상황을 나타내는 것인지 알아봅시다.

     

    숏스퀴즈-경제용어-공매도

     

    숏스퀴즈란?

    숏스퀴즈(Short Squeeze)란 주식시장에서 공매도(숏 포지션)를 취한 투자자들이 예상과 달리 주가가 급등할 때, 손실을 막기 위해 급하게 주식을 다시 사들이면서 주가가 더욱 빠르게 오르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은 일종의 피드백 루프를 만들어 주가의 급등을 가속화합니다.

     

     

    좀 더 자세히 숏스퀴즈가 발생하는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공매도 설정

    투자자들은 주가 하락을 예상해 주식을 빌려서 먼저 팔고, 나중에 더 낮은 가격에 사서 갚으려고 합니다. 이때 빌린 주식을 시장에 매도한 상태가 '숏포지션'입니다.

     

    2. 예상과 다른 주가 상승

    갑작스러운 호재, 긍정적인 뉴스, 투자자들의 대량 매수 등으로 주가가 예상과 달리 오르기 시작하면, 공매도 투자자들은 손실 위험에 노출됩니다.

     

    3. 강제 청산과 매수 압력

    주가가 계속 오르면, 브로커나 거래소는 추가 증거금을 요구하거나 포지션을 강제로 청산합니다. 이때 공매도 투자자들은 빌린 주식을 다시 사야 하므로 매수세가 급증합니다.

     

    4. 수요, 공급 불균형과 급등

    갑작스러운 매수세 유입으로 수요가 공급을 크게 초과하면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하게 됩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숏스퀴즈가 발생하며, 주가가 단기간에 폭등할 수 있습니다.

     

    주요한 특징 알아보기

    숏스퀴즈 현상에 대한 주요 특징을 알아봅시다.

    • 급격한 변동성: 숏스퀴즈는 단기간에 극심한 주가 변동성을 유발합니다. 특히 공매도 비율이 높고 유동성이 낮은 종목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공매도 비율: 공매도 잔고가 많을수록 숏스퀴즈 발생 확률이 커집니다.
    • 투자 심리와 트리거: 긍정적 뉴스, 투자자 커뮤니티의 집단 매수, 갑작스러운 거래량 증가 등이 촉매가 될 수 있습니다.

     

     

    숏스퀴즈 사례

    실제 주식시장에서 숏스퀴즈가 일어났던 사례를 살펴봅시다.

     

    게임스톱(Game Stop, 2021년)

    미국 게임스톱 주식은 공매도 비율이 140%를 넘을 정도로 높았으나, 소셜미디어를 통한 개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로 주가가 단기간에 30배 이상 폭등했습니다. 이로 인해 공매도에 나섰던 헤지펀드들이 큰 손실을 보고 숏스퀴즈가 발생했습니다.

     

    폭스바겐(Volkswagen, 2008년)

    포르셰폭스바겐 주식을 대량 매입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유통 주식이 급감, 공매도자들이 주식을 다시 사야만 하는 상황이 벌어져 주가가 며칠 만에 5배 이상 폭등했습니다.

     

    맺음말

    숏스퀴즈는 공매도 투자자들이 예상치 못한 주가 상승에 손실을 막기 위해 대규모로 매수에 나서면서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시장 변동성을 크게 키우며, 때로는 시장 구조 자체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공매도란 무엇인가? - 개미투자자가 공매도를 반대하는 이유

    공매도가 개미투자자를 가장 괴롭히는 제도라고들 합니다. 주식도 사고 파는 거래를 하는 것이니, 사는 '매수', 파는 '매도'는 알겠는데, 공매도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또 왜 개미로 불리는 개인

    siempre-feliz.tistory.com

     

     

     

Designed by Tistory.